댓글 쓰기 권한이 없습니다. 로그인 하시겠습니까?
성지순례 이야기 |
성지순례 이야기44, ‘들의 백합화, 아네모네’
꽃의 여신 플로라에게는 아네모네라는 아리따운 시녀가 있었다. 그런데 그의 남편 바람의 신 제프로스가 아네모네를 사랑하였다. 이 사실을 알고 플로라는 아네모네를 멀리 포모노 궁전으로 보내버렸다. 하지만 제프로스는 아네모네가 있는 곳을 찾아내어 사랑을 이어갔고, 도저히 그들 사이를 떼어놓을 수 없다는 것을 알게 된 플로라는 마침내 아네모네를 꽃으로 만들어버렸다. 사랑하는 연인이 꽃이 되자 바람의 신 제프로스는 그녀를 잊지 못해 봄이 되면 언제나 부드러운 바람을 보내 화려한 꽃을 피게 했다. 그리하여 이 꽃에 ‘바람꽃’이라는 별명이 생기게 되었다.
이는 아네모네의 꽃말과 관련된 이야기다. 해마다 2월말에서 3월이 되면 성지에는 아네모네가 만발하는데, 금번 순례기간 중에 갈릴리 호수 주변에서 노란 겨자 꽃과 섞여서 지천으로 피어있는 아네모네를 볼 수 있었다. 아네모네는 자생하는 빨간 들꽃으로 키가 작다. 바로 이 꽃이 예수님께서 말씀하신 ‘들의 백합화’라고 한다(마6:28).
그런데 어떻게 빨간 꽃을 백합이라 할 수 있느냐고 의아하게 여기는 사람들이 있다. 여기서 백합이란 ‘흰 꽃’이 아니다. 백은 ‘흰’ 백(白)이 아니라 ‘일백’ 백(百)이다. 백 개의 인편(鱗片)이 하나의 구근(球根)을 이루고 있어서 백합(百合)이라고 부른 것이다. 그리고 이 꽃을 주님이 말씀하신 들의 백합화로 보는 이유는 주님께서 산상보훈을 주신 장소가 갈릴리 호수 주변이고, 이곳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꽃이기 때문이다. 이 아네모네는 기독교와 관련이 깊은 꽃으로 초기 기독교에서는 삼위일체의 상징으로 사용되었고, 십자가(슬픔과 죽음의 의미) 그림 안에서 자주 볼 수가 있다. 1147년 2차 십자군 원정 때 피사 대성당의 움베르토가 성지에서 가져온 흙 속에 아네모네의 알뿌리가 있어 이 흙을 사용한 십자군 순교자의 묘지에서 피와 같이 붉은 꽃이 피었다. 사람들은 이 꽃을 순교자의 피가 되살아 난 것이라 믿게 되었고, 그후 유럽에서는 기적의 꽃으로 널리 알려졌다. 또한 주님의 피에 비유되는 꽃이기도 하다.
들꽃이 만발한 성서의 땅을 순례하면서, “들의 백합화가 어떻게 자라는가 생각하여 보라.”(마6:28)는 말씀이 주는 의미를 실감할 수 있었다. 들판이나 사람이 보지 않는 숲속이나 나무 사이 여기저기 빨갛게 피어있는 아네모네를 보면서 그 아름다움에 탄성을 지르지 않을 수 없었다. 특히 노란 겨자 꽃 만발한 들녘에 마치 빨간 점을 찍어놓듯 피어있는 모습은 환상적이었다. 하나님이 아니고 누가 이런 대자연의 캔버스에 이런 엄청난 그림을 그릴 수 있겠는가? 그리고 이런 들꽃 하나도 자상하게 돌보시는 분이 내가 믿는 하나님이시라니 얼마나 든든한가! ‘들의 백합화를 보라!’ 들의 달맞이꽃을 보라! 들의 은방울꽃을 보라! 들의 패랭이꽃을 보라! 저 들의 한 떨기 이름 없는 꽃을 보라! 그 분의 형상인 자신을 보라!......모두가 하나님께서 창조하시고 돌보시는 걸작이다.
번호 | 제목 | 글쓴이 | 날짜 | 조회 수 |
---|---|---|---|---|
50 |
성지순례 이야기50, ‘이스라엘의 에덴, 텔 단’
![]() ![]() |
장양식 | 2013.06.25 | 8635 |
49 |
성지순례 이야기49, ‘신들의 도시, 가이샤라 빌립보’
![]() ![]() |
장양식 | 2013.06.21 | 9899 |
48 |
성지순례 이야기48, ‘헐몬의 이슬’
![]() ![]() |
장양식 | 2013.01.07 | 10433 |
47 |
성지순례 이야기47, ‘분쟁의 땅, 골란고원’
![]() ![]() |
장양식 | 2013.01.03 | 8940 |
46 |
성지순례 이야기46, ‘흔들어 깨우는 자, 아몬드나무’
![]() ![]() |
장양식 | 2012.12.31 | 9071 |
45 |
성지순례 이야기45, ‘밭에 심겨진 잡초, 겨자’
![]() ![]() |
장양식 | 2012.12.29 | 7775 |
» |
성지순례 이야기44, ‘들의 백합화, 아네모네’
![]() ![]() |
장양식 | 2012.12.24 | 8612 |
43 |
성지순례 이야기43, ‘갈릴리의 갈매기’
![]() ![]() |
장양식 | 2012.12.23 | 6810 |
42 |
성지순례 이야기42, ‘흑암의 땅, 갈릴리’
![]() ![]() |
장양식 | 2012.12.16 | 7637 |
41 |
성지순례 이야기41, ‘最下장소, 最高만족’
![]() ![]() |
장양식 | 2012.10.31 | 6686 |
40 |
성지순례 이야기40, ‘다이아몬드 공깃돌’
![]() ![]() |
장양식 | 2012.10.26 | 8341 |
39 |
성지순례 이야기39, ‘세상을 뒤흔든 돌멩이’
![]() ![]() |
장양식 | 2012.10.25 | 7388 |
38 |
성지순례 이야기38, ‘말씀을 품은 땅, 쿰란’
![]() ![]() |
장양식 | 2012.10.19 | 6779 |
37 |
성지순례 이야기37, ‘싱크 홀’
![]() ![]() |
장양식 | 2012.10.17 | 7040 |
36 |
성지순례 이야기36, ‘No more Masada!’
![]() ![]() |
장양식 | 2012.10.15 | 6312 |
35 |
성지순례 이야기35, ‘엔게디의 고벨화’
![]() ![]() |
장양식 | 2012.10.07 | 9353 |
34 |
성지순례 이야기34, ‘야자나무 숲’
![]() ![]() |
장양식 | 2012.10.06 | 6570 |
33 |
성지순례 이야기33, ‘여기가 요단강입니다!’
![]() ![]() |
장양식 | 2012.08.30 | 8716 |
32 |
성지순례 이야기32, ‘왕의 대로’
![]() ![]() |
장양식 | 2012.08.15 | 9897 |
31 |
성지순례 이야기31, ‘느보산의 명물, 놋뱀’
![]() ![]() |
장양식 | 2012.08.10 | 8010 |